김병건 회장 “두통 환자의 치료환경 개선 필요”

편두통으로 인한 사회활동 제약이 10년 동안 2.5배 증가한 것으로 나타나 사회적 비용을 제고해야 한다는 의견이 나왔다.

대한두통학회(회장 김병건, 을지대 을지병원 신경과)가 19일 한국프레스센터에서 창립 20주년 기념 기자간담회를 개최했다.

이번 기자간담회에서 대한두통학회는 두통 치료 환경 및 질환 인식 개선을 위해 노력해온 20년 간의 주요 성과와 더불어 편두통 유병 현황∙장애도 조사 결과, 편두통 예방 치료 진료지침의 주요 내용을 소개하는 시간을 가졌다.

특히 질환 유별률은 과거와 비교해 큰 차이가 없지만 진달율은 10%가 상승했으며 두통으로 인한 영향이 심각한 환자는 1.3배가 늘어난 것으로 나타났다.

2018년 기준 편두통 유병률은 16.6%로 2009년(17.1%)과 큰 차이가 없었으며 전체 인구로 환산하면 830만 명이 편두통을 경험하고 있는 것으로 확인됐다.

유병률은 변화가 없었지만 진단율과 두통으로 인한 장애 검사에서는 유의미한 차이가 확인됐다.

전체 편두통 환자 중 의사의 진단을 받은 비율이 2009년 30.8%에서 2018년 33.6%로 약 10% 상승했으며, 편두통으로 인해 결근이나 결석을 하거나, 가사노동을 하지 못한 경험이 있는 환자가 31.2%으로, 과거(12.1%) 대비 2.5배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

학업이나 직장 업무, 가사에서 능률 저하를 느꼈다는 응답도 44.8%로 2009년(26.4%) 대비 1.7배 증가했다.

또한 두통으로 인한 영향을 평가하는 HIT-6(Headache Impact Test-6) 검사에서 영향 점수의 평균 값은 큰 차이가 없었지만 ‘상당하거나(Substantial Impact)’ ‘심각한(Severe Impact) 영향’이 있다고 답한 편두통 환자가 29.7%(2009년)에서 40%(2018년)로 약 1.3배 높아진 것도 확인됐다.

주민경 대한두통학회 부회장(연세대 세브란스병원 신경과)은 “강도 높은 통증이 반복, 지속적으로 발생하고, 구역과 구토 등이 동반되는 편두통은 WHO에서 선정한 질병 부담 2위의 질환으로 이번 조사를 통해 국내 역시 편두통으로 인한 환자들의 사회적 제약이 심각하고, 그 부담이 과거 대비 증가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고 설명했다.

이어 그는 “편두통이 한창 사회생활을 하는 중년층에 많이 발생하는 질환임을 고려했을 때, 편두통으로 인한 일상생활의 제약이 반복된다면 이는 곧 사회적 부담으로 이어질 수밖에 없을 것”이라고 경고했다.

더불어 편두통 환자 5명 중 3명(66.4%)이 두통으로 인한 영향으로 적절한 치료가 필요한 상황이지만 전문 치료를 위해 병의원을 방문한 환자는 16.6%에 그쳐 적극적인 치료의 필요성에 대한 인식은 아직 부족한 것으로 드러났다.

김병건 대한두통학회 회장은 “과거에는 두통을 대수롭지 않게 여기고, 두통을 꾀병이라 치부해 버리는 인식이 만연했던 탓에 통증이 심한 편두통 환자들도 고통을 숨기는 경향이 있었다”며 “이에 학회는 2015년부터 두통의 심각성과 전문 치료의 필요성을 알리기 위해 ‘두통도 병이다’라는 메시지 하에 두통 인식개선 캠페인을 전개하며 두통 환자들의 올바른 진단과 치료환경 개선을 위해 노력해 오고 있다”고 말했다.

학회는 두통 횟수∙강도∙만성화 위험 감소해주는 ‘편두통 예방 치료 진료지침’을 발표하고, 예방 치료는 3개월 이상, 치료 순응도 높이는 두통일기를 권고했다.

또한 7월 21일 열리는 춘계학술대회에서 배포되는 ‘삽화편두통 예방치료 약물 진료지침’의 주요 내용도 최초로 소개했다.

편두통 예방 치료는 두통 발생 시 통증과 동반증상을 완화하는 급성기 치료와 달리, 두통 횟수와 강도, 만성화 위험을 감소해주는 치료이다.

진료지침을 통해 학회는 임상에서 도움이 될 수 있는 편두통 예방 치료의 권고 시점, 방법과 더불어 국내 출시된 편두통 예방 치료제의 효과와 부작용에 따른 권고 등급을 제시했다.

예방 치료는 편두통 환자 중 생활 습관 개선과 급성기 치료를 적절하게 시행하였음에도 ▲편두통이 효과적으로 치료되지 않거나, ▲질환으로 인해 장애를 경험하는 경우, ▲급성기 치료가 효과적이지만 두통 빈도가 잦은 경우에 강력 권고된다. 급성기 치료제를 월 10~15일 이상 사용하는 환자 역시 약물과용두통의 우려가 있어 강력 권고 대상에 해당된다.

저작권자 © 메디팜스투데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