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철휘 부센터장 "엑셀레이터 역할 통해 개방형 혁신 허브 만들 것"

AI(인공지능)를 활용한 신약개발은 전통적 신약개발과 달리 비용과 시간을 획기적으로 줄일 수 있는 것으로 알려지면서 세계적 추세로 자리잡았고, 국내 제약업계에서도 높은 관심을 보이고 있다.

이 같은 흐름에 발맞춰 한국제약바이오협회는 지난 3월 한국보건산업진흥원과 함께 'AI 신약개발 지원센터(이하 AI센터)'를 개소하고, 지난 5월 1일자로 한국IBM 왓슨&클라우드 소프트웨어 상무를 역임한 바 있는 주철휘 공학박사를 부센터장으로 임명했다.

주 부센터장은 최근 메디팜스투데이와 만난 자리에서 AI센터를 '개방형 혁신 허브'로 만들겠다는 포부를 밝혔다.

AI 신약개발 글로벌 리딩기업과 국내 제약바이오기업과의 간극을 줄이기 위해 최적의 알고리즘을 적용할 수 있도록 효과적으로 도와주는 엑셀레이터 역할을 하겠다는 것이다.

그는 "AI센터의 역할은 약을 만들거나 플랫폼을 구축하는 것이 아니다"면서 "부족한 인력을 보완하고 빠르게 변화하는 기술을 학습해 그 경험을 제약기업이 AI 신약개발을 시작할 때 도움을 줄 수 있도록 하는 것"이라고 말했다.

AI 신약개발은 제약바이오기업, AI 스타트업, IT 기업이 긴밀한 파트너십을 통해 이끌고 있다. 5월 1일 기준으로 현재 132개의 글로벌 AI 스타트업이 있지만 우리나라는 2개 회사만이 이름을 올릴 정도로 아직 초보 수준이다.

주 부센터장은 "미국의 경우 지난 2018년 70여개의 벤처캐피탈이 AI 스타트업에 약 2조 3000억원의 펀트 투자를 했다"며 "지난 2018년에는 AI 개발 신약 3개가 임상에 돌입했다"고 전했다.

AI 신약개발이 아직 시작 단계인 우리나라가 미국 등 선진국을 따라잡기 위해서는 인재 양성과 규제완화, 선택과 집중이 필요하다는 제언이다.

주 부센터장은 "국내 IT 전문가들에게 제약바이오 분야는 진입장벽이 높다"며 "용어 자체가 어려워 소통이 안되기 때문에 IT와 제약 파트 양쪽이 협업할 준비가 안돼있다"고 지적했다.

이에 따라 AI센터는 정부 지원을 받아 우선 인재양성을 목표로 하고 있다. 제약바이오 업계와 IT 전문가 대상 30~50명 규모로 기본교육을 진행했으며 올해 하반기부터 전문적인 교육을 시작할 계획이다.

이를 위해 해외 연구소와 파트너십을 체결하고 대학, 정부 유관기관 자문위원을 영입해 약 20명 규모의 전문가협의체를 구성하기로 했다.

"규제완화가 시장을 리드…선택과 집중 필요"

또 하나 중요한 것은 규제완화다. 제약바이오협회는 최근 건강보험심사평가원, 화학연구원 등 방대한 데이터를 보유한 정부 유관기관들과 MOU를 맺었다.

그러나 개인정보보호법에 묶여 실질적인 데이터 사용은 요원한 상황이다.주 부센터장은 "개인정보를 비식별화하는 것은 어려운 일이 아니지만 특성상 신중할 수 밖에 없는 것도 사실"이라며 "현재 국회에서 논의 중이어서 법 개정이 이루어지고 공감대가 형성되면 본격적으로 사용될 수 있을 것으로 생각한다"고 말했다.

이어 "미국의 경우 AI 신약개발 대상이 대부분 희귀질환이다. FDA는 이런 신약을 패스트트랙으로 진입시켜 규제를 열고 같이 가고 있다"며 "규제완화가 시장을 리드한다"고 역설했다.

그는 AI 신약개발 후발자로서 '패러다임 전환기의 탈추격'을 강조했다. 신약개발 과정은 후보물질 발굴부터 전임상까지 15개 주기가 있는데 한꺼번에 따라잡기는 힘들기 때문에 선택과 집중이 필요하다는 것이다.

예컨대 희귀질환용 딥러닝 등 미래기술로 점프하거나 개방형 오픈 네트워크에 적극 참여, 전략적으로 적합한 분야 선점 등이 그것이다.

주 부센터장은 "제약분야는 성공사례가 나올 때까지 기다렸다가 가장 늦게 뛰어든다. 왜냐면 성공도 의심되고 어디서부터 시작할 지 모르고 있기 때문"이라며 "패러다임이 변할 때 후발주자가 할 수 있는 선택지는 중간과정을 건너뛰고 배팅을 하는 것"이라고 말했다.

이러한 AI 신약개발에서 글로벌 리딩기업과 국내 기업간의 간극을 줄이는 것이 AI센터의 역할이라는 것.

주 부센터장은 "2년 정도의 간극이 있다"며 "그러나 우리나라는 임상에 강점이 있는데다 뛰어난 IT·벤처기업, 방대한 병원 데이터 등 좋은 보고를 갖고 있기 때문에 지원과 집중을 잘하게 되면 가능성은 충분하다"고 강조했다.

저작권자 © 메디팜스투데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