바이오 헬스 혁신 위한 민관 공동 간담회 개최…현장 애로·건의사항 수렴

차세대 유력산업인 바이오헬스산업을 미래 국가 기간산업으로 육성·발전시키기 위해 5개 부처 장관과 제약바이오업계 CEO가 한자리에 모였다.

과학기술정보통신부(유영민 장관), 산업통상자원부(성윤모 장관), 보건복지부(박능후 장관), 식품의약품안전처(이의경 처장), 기획재정부(방기선 차관보)는 15일 한국제약바이오협회에서 ‘바이오헬스 혁신 민관 공동 간담회’를 개최했다.

이날 유영민 과기부 장관은 "바이오헬스는 우리 산업의 중요한 한축"이라며 "한개의 신약을 만들기 10여년간 막대한 R&D비용을 투자해야 하는 장기적 관점에서 긴 호흡으로 가야하는 만큼 민관협업이 중요하다"고 밝혔다.

유 장관은 "기초·원천연구의 중심 축을 강화하고 신약 및 첨단의료기기 개발을 위해 임상 전주기 R&D 지원체계를 마련할 것"이라며 "기술자본인력을 육성하고 혁신적인 생태계 구축을 위해 노력하겠다"고 말했다.

이어 "세계 석학들은 4차 산업혁명의 최대 수혜산업으로 바이오헬스산업을 꼽는다"면서 "불확실성을 제거해 나갈 수 있도록 바이오헬스산업에도 규제샌드박스를 확대해 나갈 것"이라고 강조했다.

성윤모 산업통상자원부 장관과 이의경 식품의약품안전처 처장도 규제 혁신에 방점을 찍었다.

이의경 처장은 "우리나라가 EU 화이트리스트 등재로 최종 결정되면서 국내 의약품 글로벌 진출의 가능성을 보여줬다"며 "앞으로 글로벌 수준의 불필요한 규제를 적극 개선해 나갈 것"이라고 밝혔다.

바이오헬스분야는 그동안 인프라·인재 등 상당한 잠재력을 축적해왔고, 최근 일자리 및 기술수출 증가 등의 성과를 이루어왔다.

최근 벤처캐피탈의 바이오헬스 분야 투자가 지속 증가하고 있고, 국내 제약기업 등에서 대규모 기술수출 성과가 나타나고 있다.

바이오헬스 벤처캐피탈 투자는 2017년 3788억원에서 2018년 8417억원으로 122% 증가했고, 2016년 이후 33개 신약 후보물질 기술 수출해 약 10조원의 수익을 창출했다.

제약·의료기기 등 제조업과 보건의료서비스 분야에서 최근 5년간 17만 개의 일자리가 증가하는 등 고용 기여도도 높아지고 있다.

바이오헬스산업의 중·장기 혁신성장 동력을 더욱 높이기 위해서는 산업 현장의 목소리를 정책에 적극 반영해 현장중심형 발전 정책의 수립이 필요하고, 바이오헬스 발전을 위해서는 R&D 투자 확대, 전후방산업 육성, 전문인력 양성, 해외시장 개척 등 산업 생태계 인프라의 강화가 필요하다는 목소리가 높아지고 있다.

또한 임상시험 및 인허가 기간 단축, 의료데이터 활용 등 규제개선과 제약바이오 수출 지원 등도 요구된다.

박능후 보건복지부 장관은 "“혁신주체인 기업과 조력자인 정부가 긴밀히 협력한다면 바이오헬스가 ‘제2의 반도체’와 같은 기간산업으로 도약할 수 있는 저력이 충분하다”며 "제약·바이오 기업인들의 현장 애로와 건의사항을 해결하고 지원할 수 있는 방안을 관계부처가 함께 고민하고 모색해 나가겠다”고 밝혔다.

박 장관은 “업계의 건의 사항을 수렴해 대한민국이 글로벌 바이오헬스 강국으로 도약할 수 있는 구체적인 정책 방안을 조만간 마련해 시행하겠다”고 말했다.

이날 모두발언 이후 간담회는 비공개로 진행됐다.

저작권자 © 메디팜스투데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