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차·3차 병원 유기적 협력 한목소리…심전도 검사 수가 현실화 요구

뇌졸중과 심정지 등을 유발하는 심방세동을 예방하고 적극 관리하기 위해서는 1차와 3차 의료기관의 유기적 협력이 필요하다는데 의견이 모아졌다.

특히 개원가에서 항응고제의 처방이 활성화될 수 있도록 교육을 확대하고, 심전도 검사에 대한 수가를 현실화해야 한다는 목소리가 높다.

대한부정맥학회와 대한임상순환기학회는 8일 서울스퀘어에서 '심방세동 환자의 의료기관간 협력 향상을 위한 공개 토론회'를 개최했다.

이날 김한수 대한임상순환기학회 회장은 "심방세동 등 심뇌혈관질환은 증세가 나타나는 것이 늦을 뿐이지 20~30대부터 고혈압, 당뇨병, 이상지질혈증 등을 통해 일찍 시작된다"며 "때문에 1차 의료기관 역할의 중요성이 부각되고 있다"고 밝혔다.

심방세동을 예방 및 관리하기 위해서는 기본적으로 고혈압 등을 예방하고 치료해야 하는데 이 부분에서 개원가의 역할을 확대할 필요가 있다는 것이다.

정보영 대한부정맥학회 학술이다.
심방세동에서 중요한 것은 뇌졸중 예방이다. 이를 위해 NOAC(신규 경구용 항응고제)이나 항혈전제 등 항응고요법을 사용하는데 처방률이 25%로 낮은 실정이다. 3차 의료기관의 항응고요법 사용률이 83% 정도로 높은 수준인데 비해 1, 2차 의료기관은 더욱 낮다.

이를 개선하기 위해 대한부정맥학회는 지난해 심방세동 환자의 뇌졸중 예방지침을 마련해 발표한 바 있다.

정보영 대한부정맥학회 학술이사는 "항응고요법은 뇌졸중 위험 점수(CHA2DS2-VAS 점수)가 2점 이상인 모든 환자에서 꼭 시행돼야 한다"며 "심방세동 전수조사 결과 환자의 60%가 출혈위험 3점이 넘는 것으로 나타나, 항응고요법 사용률을 높일 필요가 있다"고 말했다.

미국이나 유럽의 경우 3차 의료기관인 대학병원에서 진단을 받고 적절한 항응고 치료와 용량을 선택한 후, 약은 가까운 개인병원에서 처방받는다. 1~2년에 한번 추적관찰을 위해 대학병원을 찾는 방식이다.

정 이사는 "개원가에서 NOAC의 적응증과 금기증을 다 알수는 없기 때문에 지침을 마련했다"며 "신장기능만 주의하면 개원가도 충분히 처방이 가능하다"고 언급했다.

그는 "심방세동 환자는 뇌졸중 예방, 증상조절, 위험인자 조절의 통합적 치료(ABC)와 함께 고혈압, 당뇨병까지 적절히 치료해야 예후가 좋아진다"며 "3차 기관은 약물의 시작과 부정맥 시술에 집중하고 나머지는 개원가에서 협조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정 이사는 1차-3차 의료기관의 연계 활성화를 위해 학회 차원에서 심전도 항응고 요법 공동 교육 확대와 인증의 제도 운영을 제안했다.

한경일 대한임상순환기학회 정책부회장.

한경일 대한임상순환기학회 정책부회장(서울내과)은 심방세동 진단을 위한 심전도 수가의 현실화를 주장했다.

한 부회장은 "심전도 수가는 미국이 300불, 영국이 130불 등인데 비해 한국은 6400원으로 최하위"라며 "장비, 공간, 유지비, 인건비(임상병리기사) 등을 고려하면 찍으면 찍을수록 손해"라고 말했다.

그는 "자동판독(CIE)도 판독에 있어 완전하지 못하고 웨어러블 기기를 사용해 진단하게 되면 수가가 없다"며 "심전도 수가를 현실화하고 재판독, 의뢰(Consult) 수가가 신설돼야 한다"고 강조했다.

또한 심전도 진단률을 높이기 위해서는 자동판독은 체계적으로 재판독이 돼야 하며, 이를 위해서는 사회·경제적 지지와 제도가 뒷받침돼야 한다는 의견이다.

한 부회장은 "심방세동 조기 발견을 위해 65세 이상 일괄적 심전도 측정보다는 증상·위험도에 따라 선별적 측정을 추천한다"며 "목표달성을 위해 현실적인 문제해결이 우선"이라고 말했다.

김진배 대한부정맥학회 정책이사는 심방세동 선별검사(심전도 검사)를 국가건강검진 기본항목에 넣어줄 것을 촉구했다.

그는 "무증상의 심방세동이 전체 심방세동의 3분의 1을 차지한다"며 "무증상의 심방세동도 뇌졸중 위험도는 증상을 동반한 심방세동과 동일하기 때문에 전체 인구에 대한 선별검사가 필요하다"고 밝혔다.

저작권자 © 메디팜스투데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