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역별 강점 살리고 지원 체계 향상에 집중 필요

국내 바이오클러스터 육성을 위해서는 내실화와 경쟁력을 키우기 위한 지원 제도 개선, 선순환적 생태계 조성이 필요하다는 의견이 제시됐다.

김지은 한국보건산업진흥원 의료서비스개선팀 책임연구원은 최근 발표된 바이오헬스리포트에서 바이오클러스터 육성을 위한 방안으로 △한시적 규제 완화 △행정절차 간소화 △투자형 자금 조성 확대 △사업 단계별 구분 지원 등이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개별 클러스터의 제도개선 사항으로는 △클러스터 육성을 위한 법적 근거(육성법 가칭) 마련 △기업 유치 규제 완화(국내 중소형 기업 유치 제약) 등을 검토해야 한다고 밝혔다.

김지은 책임연구원은 "향후 클러스터의 활성화를 위한 제도개선 시에 통합적인 제도 개선을 통해 클러스터의 내실 화를 꾀하고, 클러스터 내의 구성원들이 자생적으로 움직일 수 있는 환경, 즉 선순환적인 생태 계를 조성하여 바이오산업의 경쟁력을 높여야 할 것"이라고 강조했다.

주요 바이오클러스터별 조성 현황
현재 국내 바이오클러스터는 지역별로 강원도 원주, 경기 광교, 대구 경북, 대전 대덕, 서울 홍를, 인천 송도, 충북 오송 등에 위치하고 있으며 민간 또는 지자체가 주도하거나 정부 주도로 운영되는 형식을 취하고 있다.

정부 주도형은 대구 경북과 충북 오송의 첨단의료복합단지, 지자체 주도형은 서울 홍릉 바이오허브, 인천 송도 바이오프론트, 민간 주도형은 강원 원주 의료기기테크노벨리 등 이 있다

현재 국내 바이오클러스터는 지역별로 16개 이상이 조성되어 있는데, 국내 클러스터의 성공사례 발굴을 위해서는 지역별 접근으로 인한 분산 대신 연계와 협력을 통한 시너지를 모색해야 한다는 의견이 제기되고 있는 상황이다.

김지은 정책연구원은 "운영에 따르는 지원이나 의사결정 방식에 차이를 극복하기 위해서는 참여주체간의 논의와 협의가 있어야 한다"면서 "클러스터간의 연계 및 협력을 이루기 위해서는 범부처 차원의 컨트롤 타워가 필요하다"고 지적했다.

정부 역시 시너지 창출을 위한 전략으로 2017년 '바이오경제 혁신전략 2025'를 발표한바 있으며 지역별로 특화·연계 프로그램(대전·홍 릉(R&D창업), 판교·오송·대구(보육·성장), 송도(생산·글로벌)) 등으로 구분하거나, 클러스터간 투자 중복 방지 및 협업을 촉진할 조직(바이오정보종합서비 스(가칭)) 구축을 통해 광역 클러스터 망을 형성하는 방안을 마련한다는 방침이다.

이와 함께 병원 중심의 바이오R&D와 이를 사업화로 추진하기 위한 제도적 개선책을 마련해 클러스터 중심의 바이오 생태계를 확충할 계획이다.

김지은 정책연구원은 "클러스터간의 연계 및 협력 방안은 세부주제별로 접근해 구체화하는 것이 필요하다"면서 "원천기술(기술가치) 고도화를 위한 협력, 창업보육, 중소기업 혁신창업을 위한 협력, 안정적인 보육환경을 위한 생태계 조성, 중소기업 유치 및 육성을 위한 펀드 조성 등을 검토해야 한다"고 조언했다.

전반적인 제도 개선을 위해서는 "바이오분야의 규제를 특정지역에 한시적으로 완화하는 방안, 인허가 절차 및 임상시험승인 등과 관련된 행정절차의 간소화 혹은 권한을 위임하는 방안, 바이오 연구개발분야의 투자형자금(Funding) 조성 확대, 클러스터 육성을 위한 지원시 지역적인 접근보다 사업단계별 구분 지원 등을 살펴볼 수 있다"고 강조했다.

개별 클러스터의 제도개선 사항으로는 "정부주도형의 경우 클러스터 육성을 위한 법적근거(육성법 가칭) 마련, 지자체형인 송도의 경우 기업 유치 규제 완화(국내 중소형기업 유치 제약) 등을 검토할 수 있다"고 제시했다.

김지은 정책 연구원은 마지막으로 "향후 클러스터의 활성화를 위한 제도개선에 통합적인 제도 개선을 통해 클러스터의 내실화를 꾀하고, 클러스터 내의 구성원들이 자생적 으로 움직일 수 있는 환경, 선순환적인 생태 계를 조성해  바이오산업의 경쟁력을 높여야 할 것"이라고 밝혔다.

저작권자 © 메디팜스투데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