분당서울대 병원 연구진, 전신마취 vs. 다른 마취 신손상 발생률 비슷

수술 환자들은 마취방법과 상관없이 갑작스럽게 신장 세포가 손상을 받아 신장 기능이 감소하는 ‘급성 신손상(Acute Kidney Injury)’ 위험이 있어 조기치료가 중요하다는 연구결과가 국제 학술지 ‘메디슨(Medicine)’ 최신호에 게재됐다

분당서울대병원 신장내과 김세중 교수 연구팀은 10년 이상의 대규모 코호트연구 분석을 통해 수술 후 급성 신손상 발생 위험을 마취방법별로 연구한 결과를 발표했다.

연구팀은 혈청 크레아티닌이 0.3mg/dL 이상 증가하거나 50% 이상 증가한 환자를 ‘급성 신손상 환자’로 정의하고, 2006년~2015년까지 10년간 분당서울대병원에서 수술받은 환자 7만 4524명 중, 수술 이전에 신장 질환을 가지고 있거나 평균 혈청 크레아틴 수치가 높은 환자를 제외한 총 5만 3484명의 수술 전 신장 기능 검사 결과와 수술 후 급성 신손상 발생 여부를 조사했다.

마취방법별 말기 신부전증 진행도 및 사망률

연구팀은 수술 시 전신마취를 받은 환자군(41,996명)과 그 외의 마취(부위마취, 척추마취, 감시하 마취관리 등)를 받은 환자군(11,488명)을 나누어 혈청 크레아티닌 수치를 통해 급성 신손상 위험 정도를 비교했다.연구 결과, 전신마취 후 급성 신손상 발생률이 전신마취 이외의 마취 후와 유사한 경향을 보인 것을 발견했다.

이는 수술 후에는 마취종류와 무관하게 급성 신손상의 위험이 있다는 의미라고 연구팀이 설명했다.

연구팀은 급성 신손상이 발생하면 이후 말기 신부전증이나 사망의 위험이 같은 정도로 증가하기 때문에 이에 대한 추적이 필요함을 보였는데, 이는 전신마취 이외의 마취가 급성 신손상 발생 및 환자의 예후 면에서 전신마취의 경우보다 안전하지 않을 수 있음을 보여준다고 밝혔다.

연구 책임자인 김세중 교수는 “급성 신손상은 수술 후 환자에게 소변양 감소, 부종 등과 더불어 심할 경우에는 신장투석의 위험을 높이고 사망까지 초래할 수 있기 때문에, 이러한 위험을 가진 환자의 신장 상태 및 기능에 대해서는 특히 감시와 평가가 면밀히 이루어져야 한다”고 말했다.

저작권자 © 메디팜스투데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