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부의 '공공기관 공통 데이터모델 플랫폼' 구축 맹비난

국민건강보험노동조합이 정부가 국민건강보험공단을 의료영리화의 전진기지로 삼으려 하고 있다고 주장했다.

노조는 5일 보도자료를 내고 "정부가 보건의료빅데이터 시범사업이 여론의 반발로 여의치 않자 사전 정지작업으로 보건의료 공공기관 공통데이터모델(CDM) 플랫홈 구축에 나섰다"고 비판했다.

노조는 "4개 기관 중 포함된 국민건강보험공단은 전체 국민의 진료정보를 갖고 있는 곳으로 최근 정부가 집요하게 공단이 요양기관에 지급한 비용의 확인 등 업무수행을 목적으로 보유하고 있는 개인의 건강정보를 넘기라는 압박과 궤를 같이 하고 있다"고 주장했다.

이어 "정부는 공단이 가입자에게 서비스를 하고 있는 본인의 건강검진 결과자료와 진료내역(병명), 투약일 처방횟수, 약품명, 병의원·약국 방문일수 등의 개인 건강정보를 당사자가 직접 스마트폰에서 민간 헬스어플에 제공할 수 있도록 지속적으로 요구해왔다"면서 "이를 위해 공단이 해킹 등 정보유출 위험을 차단하고 정보 오남용을 방지하기 위해 당사자의 다운로드를 제한한 것을 해제하라는 것"이라고 지적했다.

그러면서 "규제개혁, 공익목적, 연구나 정책개발 목적에 한해 민간 공유 등의 정부 주장은 그 범위나 대상이 모호하기 그지없다"면서 "그것은 의료영리화(상업화)를 통한 민간의 돈벌이 통로 보장과 맞닿아 있다는 점에서 심각한 우려를 불러일으킨다"고 강조했다.

또 "익명화나 비식별화 제공이라 하더라도 재벌 보험사들이 보유한 방대한 가입자 정보를 연결시키면 어렵지 않게 개인 식별이 가능함은 숱하게 지적되어온 사항"이라면서 "국민 개인 건강정보의 민간 제공은 의료영리화의 보장과 함께 국민개개인에게 엄청난 불이익을 안길 것"이라고 경고했다.

노조는 "정부가 내세운 ‘4차 산업혁명’의 목적이 민간의 헬스케어 분야를 넘어 국민의 개인건강정보를 통째로 넘겨주어 의료영리화의 길을 터주려는 것인가"라고 비판하면서 "헬스케어, 즉 건강관리서비스 또한 재벌기업의 돈벌이 수단을 확대해주려는 것이 아니라, 국민건강보험공단과 보건소가 연계되어 국민이 비용부담 없이 효과적으로 서비스를 받도록 해야 하는 공공영역이자 최근 정부가 제시한 포용적 복지국가의 사업"이라고 지적했다.

노조는 마지막으로 "허울 좋은 명분으로 포장된 보건의료빅데이터 시범사업과 보건의료 공공기관 공통데이터모델(CDM) 플랫홈 구축이라는 정부의 양동작전은 의료영리화를 위한 국민에 대한 기만임을 분명히 밝힌다"면서 "그 저지를 위해 제 시민사회단체와 함께 모든 투쟁역량을 모을 것"이라고 경고했다. 
저작권자 © 메디팜스투데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