새로 진단 경우 3배 이상 높아

노인 치매 환자는 사망위험이 증가한다는 사실이 국내 연구에서 확인됐다.

분당서울대병원 정신건강의학과 김기웅 교수(사진) 연구팀은 보건산업진흥원의 지원으로 진행된 한국인의 인지노화와 치매에 대한 전향적 연구(Korean Longitudinal Study on Cognitive Aging and Dementia; KLOSCAD)를 수행했다.

연구팀은 2010년~2015년까지 60세 이상의 한국 노인 6752명을 추적·평가하면서, 치매의 유병은 물론 치매가 발생한 경우에 사망 위험이 얼마나 높아지는지 분석했다.

2010년~2012년 사이에는 대상자에 대한 치매유병 등을 확인하기 위한 초기 기저평가를 진행했고, 기저 평가 후 2년 뒤에는 추적평가를 시행했다. 이후 2015년 12월까지 사망 여부를 확인하면서 사망 위험에 대한 평가를 진행했다.

치매의 유병과 사망 위험간의 관계를 파악하기 위해 연구 대상자를 ‘정상 인지’, ‘경도인지 장애’, ‘치매’ 세 그룹으로 분류했다.

기저평가를 통해 총 6752명의 노인 중 334명이 치매, 정상 인지 기능 4544명, 경도인지 장애는 1,874명을 확인했다.

연구팀은 치매로 진단된 노인의 경우에는 정상 인지 노인에 비해 사망 위험이 약 2.7배 높은 것을 발견했다.

기저평가 후 2년 뒤에 추적평가 결과 기존에 정상 인지 혹은 경도인지 장애였던 노인 6418명 중 95명에서 치매로 발전했다.

2년 사이 치매로 새로 진단된 95명은 정상 인지 노인에 비해 약 8.4배 까지 사망위험이 높았다.

이는 기저평가에서 이미 치매를 앓고 있던 노인보다도 최근 치매가 생긴 경우에 사망 위험이 더 높아지며, 그 수준이 약 3배 이상이나 된다는 것을 의미한다. 

김기웅 교수는 “이번 연구결과를 통해 우리나라의 경우에는 치매가 노인의 사망위험을 3배 가까이 높일 수 있다는 사실을 입증했다”며 “특히 2년 내에 치매 진단을 새로 받게 된 사람들은 사망위험이 더욱 증가하는 만큼, 처음 치매로 진단받은 노인은 사망위험을 높일 수 있는 건강상태에 대한 주기적인 평가와 올바른 관리가 필요하다”고 밝혔다.

이번 연구 결과는 국제학술지 '노화와 질환'(Aging and disease) 온라인 판에 지난 2월 게재됐다.

저작권자 © 메디팜스투데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