금감원, 테마감리 착수 예정…셀트리온 등 국내 10개사 포함

최근 제약바이오업계 R&D(연구개발) 비용의 자산화 처리에 대한 논란이 불거진 후 금융당국의 감사 착수가 임박한 가운데 업계에서는 지나치게 가혹한 잣대라는 볼멘 목소리가 높다.

제약업계에 따르면 금융감독원은 지난 12일 사회적 중요기업 등 약 190개사를 대상으로 감리 예정이라고 밝혔다.

여기에는 제약바이오 상장사 중 셀트리온과 차바이오텍 등 R&D비 무형자산 인식요건(K-IFRS) 위반 가능성이 큰 회사 10곳도 포함된 것으로 알려졌다.

R&D비 회계처리 논란은 최근 제약바이오 업종을 중심으로 코스닥 시장의 주가가 급등락을 보이자 업체들이 R&D비를 지나치게 자의적으로 처리해 재무정보를 왜곡시킨다는 의혹이 제기되면서 불거졌다.

글로벌 제약기업들은 신약개발의 불확실성을 고려해 대부분 정부의 판매승인 시점 이후의 지출만을 자산화하지만 국내기업의 경우 임상 3상은 물론, 임상 1상 또는 전임상도 자산화 하는 경우가 일부 있는 것으로 파악됐다는 것이다.

이에 금감원은 2017년 결산 결과 공시 후 분석·점검을 거쳐 이번 테마 감리에 착수하게 됐다.

R&D비를 비용으로 처리하는 경우 영업이익이 감소하지만 자산으로 처리하면 영업이익이 증가하고 자산 규모가 커지는 것으로 나타나 결국 투자자의 피해로 이어질 수도 있다는 우려에서다.

금감원 관계자는 "이번 감리 대상인 10개 업체는 R&D 대비 무형자산 비중이 높은 것이 주요 기준으로 작용해 선정됐다"며 "아직 감리가 들어간 상태는 아니다"고 말해 곧 착수 예정임을 시사했다.

이 관계자는 "비용처리 대신 자산으로 계상하기 위해서는 기술적 실현가능성 등 특정요건을 충족하는 경우에는 무형자산으로, 충족하지 못하는 경우에는 비용으로 인식토록 하는 회계기준을 따라야 한다"며 "이번 감리는 이를 제대로 준수했는지의 여부를 확인하는 것"이라고 설명했다.

셀트리온 관계자는 "금감원으로부터 감리 착수에 대해 아직 공문 등 아무런 통보를 받지 못한 상태"라며 "저희는 케미칼은 모두 비용처리하고 있고 바이오시밀러는 이미 제품화가 된 상태"ㅐ라고 말해 문제가 없음을 피력했다.

제약바이오업계는 R&D 비용의 자산화 처리를 글로벌 제약기업과 단순 비교는 무리라는 입장이다.

업계 관계자는 "글로벌 제약사의 경우 인력 및 시설 등 인프라가 다 갖춰진 상태이기 때문에 비용처리가 가능하지만 국내기업은 R&D비용 대부분이 시설투자에 들어가는 것"이라며 "이제 인프라를 구축하는 단계의 기업에게 자산화를 문제삼는 것은 가혹한 잣대"라고 말했다.

또 다른 관계자는 "글로벌 기업과 국내 기업의 회계처리 방식은 성공확률에 대한 시각 차가 있기 때문에 다를 수밖에 없다"며 "어떤 것이 정답이라고 얘기하기는 어렵다"고 밝혔다.

증권업계도 무형자산화 비중에 크게 좌우될 필요가 없다는 의견을 보였다.

이달미 SK증권 애널리스트는 "제약바이오 분야는 R&D 투자가 장기적으로 이뤄지기 때문에 이 부분이 가장 큰 부담이 될 수밖에 없다"며 "무형자산화 비중이 높다고 회사의 기업가치에 문제가 있다고 볼 수 없고, 그 보다는 신약의 성공가능성이 중요하다"고 강조했다.

이번 감리에서 위반사항이 적발될 경우 고의성과 위반 정도에 따라 형사고발 조치 및 과징금 부과, 유가증권 발행 제한 등의 조치가 취해질 것으로 보인다.

저작권자 © 메디팜스투데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