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도영 교수 "선별검사 도입, 비용·효과성 확인돼"

김도영 세브란스병원 소화기내과 교수.

C형간염이 국가건강검진(이하 국가검진) 항목에 포함되기 위한 조건 중 '유병률 5% 이상'이라는 조건은 국가검진에 포함시키지 않으려는 꼬투리에 불과하다는 지적이다.

C형간염을 포함해서 유병률 5% 넘는 만성질환 감염병은 거의 없다는 것이다.

김도영 연세대 세브란병원 소화기내과 교수는 기자들과 만난 자리에서 C형간염이 국가검진에 포함돼야 하는 이유를 설명했다.

김 교수는 “C형간염은 대부분 환자들이 무증상 발현한다"며 "이로 인해 질환인지율과 진단률, 치료율이 낮다"고 밝혔다.

이는 간염이나 간경변, 간암 등 말기간질환으로 이어지고 질환이 심각해질수록 환자가 부담하는 치료비용이 커지며, 전파감염의 위험성이 높아진다는 것이다.

때문에 진단되지 않은 상태로 간질환이 진행되고 있는 환자발굴이 필요하다는 제언이다. 만성 진행환자의 70%가 진단이 되지 않은 채 C형간염 감염 사실을 모르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김 교수는 "C형간염은 국가검진체계와 연계한 선별검사가 이루어져야 한다"며 "장기적인 사망률 감소와 삶의 질 향상을 위한 비용·효과적인 C형간염 퇴치 전략"이라고 강조했다.

실제로 정숙향 분당서울대병원 교수가 건강보험심사평가원 자료를 토대로 C형간염 1회 선별검사 및 치료의 비용·효과를 분석한 결과, 비용·효과적인 것으로 나타났다.

40대, 50대, 60대 인구를 대상으로 각각 1회 선별검사를 시행하고, 현재 건강보험 급여기준에 합당한 DAA 치료를 하는 경우와 선별검사를 하지 않는 경우를 비교했을 때 아이서(ICER)값은 40~49세 5714달러, 50~59세 6843달러, 60~69세 8889달러로 연령이 높을수록 비용이 늘어났다.

김 교수는 "우리나라의 경우 보건의료 환경이 국가주도 시스템으로 잘 구성돼 있기 때문에 선별검사를 도입할 경우 WHO가 목표로 설정한 '2030년 C형간염 종식'에 금세 도달할 것으로 생각한다"고 말했다.

그러나 국가검진 도입 조건 중 유병률 5% 이상이라는 조건이 발목을 잡고 있는 상황이다.

김 교수는 "미국의 경우 1945년~1965년 사이의 모든 성인을 대상으로, 일본은 전체 인구를 대상으로 선별검사를 실시하고 있다"며 "그러나 우리나라는 아직도 결정하지 못하고 있다"고 지적했다.

그는 "국가검진에 포함된 B형간염도 C형간염과 마찬가지로 유병률이 1%가 채 안된다"며 "유병률이 5% 이상되는 질환은 만성질환 중에 거의 없을 뿐더러 5% 이상 되는 국가도 몽골과 이집트 밖에 없어 국가검진에 포함시키지 않으려는 꼬투리 잡기"라고 말했다.

저작권자 © 메디팜스투데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