복지부·식약처 등 업무보고, 부처 간 장벽 해소에 역점

국민건강 중심 범정부적 통합 대응 체계(One Health)가 논의됐다.

보건복지부(장관 박능후), 식품의약품안전처(처장 류영진), 농림축산식품부(장관 김영록), 해양수산부(장관 김영춘), 환경부(장관 김은경)는 23일 세종컨벤션센터에서 국무총리에게 ‘국민건강 확보’를 주제로 올해 핵심정책을 보고하고 이에 대해 토의했다. 

이번 업무보고는 국민들이 안심하실 수 있도록 건강을 위협하는 각종 요소를 줄이고, 정부역량강화를 위해 부처 간 장벽을 해소하는 데 역점을 두었다.

보건복지부

보건복지부는 ▲감염병 대응체계 강화 ▲필수의료 강화 ▲환자 안심 의료서비스 구축 ▲국민 생명과 건강 위협요소 예방 등을 강화해 나가기로 했다.
 
우선 메르스 사태 재발 방지를 위해 감염병 대응체계를 보다 강화한다.

감염병 유입 방지(검역 강화), 24시간 모니터링 및 즉각 대응체계 구축, 감염병 전문병원 및 음압격리병상 확충 등 방역 전 단계 역량을 높이고, 실시간 감시시스템 마련, AI 활용 조기인지시스템 개발, 고위험 및 신변종 감염병 관련 백신 자체개발 등 R&D를 추진한다.

결핵은 잠복결핵 검진(50만명), 고위험군 검진(12만명)을 통한 조기발견, 취약계층 지원 등을 통해 OECD 대비 높은 발생률을 대폭 낮춘다.

권역외상센터 지원을 강화하고 외상전문인력양성·수가체계를 개선하며, 소아전문응급의료센터를 확대(9→13개소)하여 외상·응급의료체계를 강화한다.

재난의료는 매뉴얼, 교육, 전담인력 등을 통해 대비하고, 상황실 24시간 운영, 현장 출동 등 지원하고, 국가 재난트라우마센터를 설치한다.

취약지 지역거점병원 등 필수의료 인프라를 갖추고, 공공의료 인력 양성을 추진하며, 상반기 내 공공보건의료 종합대책을 수립할 예정이다.

신생아 중환자실 단기 대책으로 신고·대응체계 개선, 인력·장비 등 인프라 강화, 적정 운영을 위한 수가 개선 등을 추진한다.

환자안전사고 보고 및 주의경보 발령 활성화, 환자안전 개선활동 지원 등을 담은 제1차 환자안전종합계획(2018~2022)을 마련, 추진할 계획이다.

자살 예방 게이트키퍼 100만명을 양성하고 자살고위험군 발굴·개입 및 사후관리 체계를 갖추며, 자살시도자 사후관리를 확대한다.

암검진 질 향상, 건강검진 확대를 추진하고, 금연문화 확산과 비만·음주 폐해 예방 및 지역사회 중심 건강관리를 지원한다.

식품의약품안전처

식품의약품안전처는 △먹거리·생활용품 불안 요소 선제적 대응 △취약계층 안전관리 강화 △첨단바이오·의료기기 규제체계 개선 등을 중점 추진해 나가기로 했다.

우선 먹거리와 생활용품 등의 기본 안전부터 확실히 지켜나간다는 계획이다.

농약과 항생제 등 유해물질 관리를 철저히 하고, 가정용 계란은 세척·잔류물질 검사를 거친 후 유통되도록 의무화한다.

유해물질 분석·평가·개선 등 사전 예방관리체계를 공고히 하고, 사이버 감시기능을 강화해 온라인 불법행위를 근절할 계획이다.

긴급 위기대응체계를 구축해 신속한 위기판단과 현장대응을 이루고, 국민 불안 해소를 위해 눈높이에 맞는 소통도 강화한다.  

어린이·노인 등에 대한 공공급식 안전·영양관리를 지원하고, 혼밥·외식가구 증가에 대응하는 안전관리를 빈틈없이 해나갈 예정이다.

생리대·화장품 등의 관리를 강화해 여성건강 안심을 확보하고, 필수의약품과 백신 공급기반 확충으로 치료기회도 확대하기로 했다.

이와 함께 첨단 기술을 활용한 바이오의약품, 의료기기가 안전성을 확보하면서도 시장에 신속하게 출시될 수 있도록 지원한다.

첨단 제품의 출현에 대비한 새로운 허가・심사 체계를 마련하고, 사물 인터넷 등 혁신기술이 반영된 첨단제품 심사가이드라인을 제공한다.

안전이 확보된 고품질 제품이 개발될 수 있도록 기술지원이나 정보 제공 등도 확대하고 글로벌 품질 경쟁력을 위한 국제협력을 강화한다.

국민과 함께 식·의약 안전을 만들어 가기 위한 제도 개선도 추진한다.

식약처는 "국민들이 실제로 불안을 느끼는 제품을 검사하고 결과를 알려주는 식품・의약품에 대한 ‘국민 청원검사제’를 운영햐 국민소득 3만달러 시대에 걸맞게 안전의 질도 높여나갈 예정"이라고 밝혔다. 

이번 연두 업무보고에서는 사회 다변화, 세계화 등으로 인해 국민 건강·안전 위협 요인도 다양해져 개별적·분절적 대응으로는 한계가 있음을 고려해  One Health 가 논의됐다.

 One Health 대응 체계 강화 방안으로는 △평시 부처 간 소통 및 정보 공유 강화 △이슈 발생 시 신속한 합동 대응 및 역학조사 △사후 제도 개선, 보상, 평가 및 환류 등 각 단계별 협력 강화 방안이 제시됐다.

저작권자 © 메디팜스투데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