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AIST 연구팀 개발, 신약개발 비용 및 기간 단축 기대

한국과학기술원 이도헌 교수 연구팀이 신약개발을 위한 빅데이터 기반의 가상인체모델 CODA(Context-Oriented Directed Associations)를 개발했다고 과학기술정보통신부(장관 유영민)가 지난 8일 밝혔다.

이도헌 교수 연구팀의 연구내용은 네이처 출판사에서 발행하는 국제 학술지 ‘사이언티픽 리포트(Scientific Reports)’ 에 8일 게재됐다. 

과기부는 "최근 신약개발에 드는 천문학적인 비용과 십수년의 개발 기간을 줄이기 위해 인공지능과 빅데이터를 활용한 연구들이 주목받고 있다"면서 "하지만 기존 연구들은 세포 수준만을 고려하여 약물이 실제 인체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는데 한계가 있었다"고 말했다.

연구팀은 "바이오·의료분야의 PubMed(논문 DB), KEGG(생체회로 DB) 등 2,600만 여개의 국제적 빅데이터를 활용하여 인체 내 조직·세포들의 다양한 상호작용으로 구성된 가상인체시스템을 구축했다"면서 "논문을 통해 공개된 정보 외에도 내부 실험으로부터 얻어진 데이터, 인공지능 분석을 통해 얻어진 상호작용 또한 포함되어 있다"고 소개했다. 

이어 "이 인체 시스템을 활용하면 약물과 질병 사이의 네트워크 경로를 분석하여 약물의 작용 기전과 부작용 등을 예측하는 데 기여할 것"이라고 덧붙였다.

이도헌 교수는 “향후 연구계·산업계와의 협업을 통해 신약개발에 활용할 계획”이라며 “올 10월에는 영국 캠브리지 대학 Milner 연구소가 개최하는 국제 심포지움에 참석하여 화이자·아스트라제네카 등 세계적인 제약기업들과 협의해 나갈 것”이라고 밝혔다.

이 연구는 과학기술정보통신부 바이오·의료기술개발사업(전통천연물기반 유전자-동의보감사업)의 지원을 받아 수행됐다.

저작권자 © 메디팜스투데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