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학 "논문 등 위한 장기적 연구" vs 기업 "당장 상용화 기술"

바이오의약품 원천기술 개발 및 상업화 과정에서 기초연구기관인 대학과 제약기업 간 미묘한 입장 차를 보여 주목된다.

대학은 장기적으로 연구할 수 있는 원천기술을, 반면 기업은 당장 상용화가 가능한 원천기술을 원하면서 이런 차이가 발생하고 있는 것.

정부도 이 같은 사실에 주목하고 간극을 줄이기 위한 정책을 고민하고 있다.

한국바이오의약품협회 주관으로 지난 13일 여의도 켄싱턴호텔에서 열린 '새 정부 출범, 바이오의약품 산업의 나아갈 방향 토론회'가 끝난 후 질의응답 시간에는 원천기술에 대한 대학과 기업 간 미묘한 엇갈림이 부각됐다.

토론회에 참석한 황유경 녹십자 연구소장은 "그 동안 바이오의약품에 대한 정부와 민간이 R&D 투자를 해왔다"며 "이제는 실용화가 될 때라고 생각하지만 성과가 보이지 않는다"고 밝혔다.

그 이유로 대학과 기업이 원하는 연구결과가 다른 점을 꼽았다. 기업은 실용화를 위한 연구를 원하는 반면, 대학은 그렇지 않다는 것이다.

황 소장은 "기업과 대학 간 원하는 방향이 맞지 않는 것 같다"면서 "그 과정에서 정부의 R&D 평가기준을 살펴보면 현실성 없는 것들을 실용화 과제로 많이 요구한다"며 평가기준 개선을 요구했다.

그는 "정부는 대학의 기초연구를 산업화하기 위해 창업지원이 필요하다고 하지만 실질적으로 연구자 창업으로 바이오의약품 개발에서 할 수 있는 것은 극히 일부분"이라고 지적하고 "대학은 기초연구에 매진하고 협력할 수 있는 기업 파트너를 찾는 것이 좋다"고 강조했다.

이은규 한양대학교 교수도 "기업과 대학교수 간의 미스매칭은 서로 니즈가 달라서 그렇다"며 "실용화를 위한 연구를 원하는 기업과 달리 기초연구를 하는 교수들은 논문을 쓰는 것이 주목적이기 때문"이라고 말했다.

다만 기업이 필요로 하는, 사업화될 가능성이 있는 연구를 선별해 라이센싱 하는 것은 기업의 책임이라고 못박았다.

최윤희 산업연구원 선임연구위원도 이 같은 의견에 힘을 보탰다. 그는 "존슨앤존슨이나 노바티스 등 글로벌 제약기업들은 대학 근처에 랩을 만들고 신약후보물질에 대한 R&D 과제를 공모해 펀딩하는 등의 시스템을 갖고 있다"며 "스스로 알아서 대학의 리소스를 가져오려고 한다"고 말했다.

그러나 최 위원은 "우리나라 제약기업은 규모면에서 그렇게 하기 어렵기 때문에 정부가 그 과정에서 어떤 역할을 할 것인지 공론화가 필요하다"고 지적했다.

이에 대해 정부는 기업의 니즈와 연구자 임상을 연결할 수 있도록 노력하겠다는 입장을 밝혔다.

서성태 산업부 바이오나노과 서기관은 "기업과 대학의 문제는 신뢰가 필요한 부분"이라며 "대학의 원천기술을 이전해 제약사가 개발하는 모델을 준비하고 있다. 성공사례가 갖춰지면 서로 도움이 되지 않을까 생각된다"고 말했다.

김주영 보건복지부 보건산업진흥과장도 "주로 연구자들은 사업성을 근간으로 하는 것이 아니라 논문을 위해 장기적으로 하고 싶어한다"며 "반면 기업에서는 사업화가 가능한 R&D 성과를 원한다"고 진단했다.

그는 "신약개발에서 중요한 것은 사업화가 가능한 기전이나 물질"이라며 "기초원천에서 사업화 물질이 많이 나올 수 있는 채널이 생기도록 노력하겠다"고 밝혔다.


저작권자 © 메디팜스투데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