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본원격의료학회 도후쿠지 이쿠오 사무국장 강연

▲도후쿠지 이쿠오 교수

“원격의료가 모든 질환을 해결할 수 있는 마법의 지팡이는 아니지만 환자의 접근성 강화를 위해 필요하다고 생각한다.”

일본원격의료학회 사무국장 겸 전무이사인 도후쿠지 이쿠오(다카사키 건강복지대학) 교수는 18일 10시 서울 세종호텔에서 열린 ‘제5차 미래보건의료포럼(주최 보건복지부)’에 연자로 참석해 원격의료에 대한 의견을 밝혔다.

그는 한국 보건의료에 있어서 ICT도입을 논의하는 자리에서 ‘일본의 ICT 기반 보건의료기술 활용현황 및 제도’를 주제로 일본의 원격의료도입 현황을 설명했다.

일본은 한국보다 먼저 저출산 고령화 사회를 맞이해 증가하는 국민의료비를 완화시키는 것이 보건의료현안의 최우선 과제이다.

한국도 일본과 마찬가지인 상황이지만 일본에서의 원격의료 도입은 한국처럼 정부의 주도 하에 일어난 것이 아닌 자연발생적이었다는 것이 도후쿠지 교수의 설명이다.

도후쿠지 교수는 “일본에서 의료분야의 ICT 활용은 자연발생적으로 이용이 늘어나고 있는 상황”이라며 “우리는 1970년대부터 의료분야에서의 컴퓨터 혹은 통신 활용에 관한 연구를 시작했다”고 밝혔다.

이어 “특정 질환에 한해서 혹은 특정한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서 연구를 해온 것은 아니고 의사들이 학문적으로 흥미가 있기 때문에 연구를 거듭하던 중 검증이 된 것들을 최근에 들어서 사용하기 시작했다”고 설명했다.

또 “물론 국가 정책적인 견지에서 말하자면 고령화가 늘어나고 진행되고 만성질환이 늘어나면서 ICT를 질병 치료에 사용해야겠다는 필요성도 제기되고 있는 상황”이라고 덧붙였다.

일본의 경우 의사-의사간 원격의료와 의사-환자간 원격의료 모두 도입된 상황이다.

의사-환자간 원격의료에 있어서 일본은 원격진료라는 용어를 사용하고 있다.

도후쿠지 교수는 “현재 임산부와 태아에 있어서 태아의 심박수를 체크하고 진통회수를 체크해 데이터를 전송하는 사업을 실시하고 있다”고 말했다.

한국의 만성질환관리 전화상담과 비슷한 원격진료도 도입 논의 중이다.

또 “한국에서도 가장 관심이 많은 만성재택질환환자 케어도 이뤄져 방문진료를 대체하고 있으며 고령 대상자가 많은 것이 특징”이라고 전했다.

그러면서 “하지만 월 2회 의사가 환자 자택을 방문해서 현장진료를 하고 있고 그 중 월 1회는 전화를 통해 원격 진료를 실시하는 방안을 검토하고 있다”고 밝혔다.

의료계 및 시민단체들은 원격의료 도입에 있어서 안전성과 의료 산업화를 우려하는 경우가 많다.

이에 대해 도후쿠지 교수는 “실제 원격의료를 도입해서 큰 돈을 번 일본 기업의 사례는 들은 바가 없다”고 강조했다.

이어 “의료계의 경우 의사회는 원격의료가 기득 권익을 침해한다면 보급에 찬성할 수 없다는 입장이지만 선구자적인 의사들은 새로운 비즈니스 기회를 기대하고 있는 상황”이라고 설명했다.

또 “대면진료 원칙의 법적인 제약은 일본에도 있지만 변호사들과 손을 잡고 잘 해결해나가고 있다고 들었다”고 밝혔다.

안전성과 관련한 우려에 대해서는 “일본의 경우 원격의료 도입 후 한 산부인과의사가 이메일을 받고 경구피임약을 처방해서 후생노동성에서 문제를 지적한 적은 있지만 사고가 난 경우는 없었다”고 전했다.

그는 원격의료 도입을 위해서는 ▲학회 차원에서의 안전성 검증 ▲국민 인식 개선 ▲재정 투입 순환사이클 확보 등이 선결돼야 한다고 지적했다.

도후쿠지 교수는 “국민 인식 개선을 위해 초·중학교 교과서에 원격의료에 대한 내용을 게재하는 것을 고려할 수 있다”고 말했다.

또 “일본의 실제 방송프로그램에서도 기획상담 및 기사분량 확보가 이뤄지고 있고 학회에서도 원격의료의 안전성과 관련한 임상적 근거를 축적하고 있는 상황”이라고 설명했다.

저작권자 © 메디팜스투데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